반응형
코딩테스트 연습 - 타겟 넘버
n개의 음이 아닌 정수가 있습니다. 이 수를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. 예를 들어 [1, 1, 1, 1, 1]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. -1+1+1+1+1 = 3 +1-1+1+1+
programmers.co.kr
풀이
주어진 정수형 배열을 더하거나 빼면서 index가 numbers의 길이에 도달했을 때, 연산 결과와 타겟을 비교한다.
DFS로 풀었다.
class Solution {
public int cnt = 0;
public void dfs(int[] numbers, int index, int now, int target) {
if (index == numbers.length) {
if (now == target) cnt++;
return;
}
dfs(numbers, index+1, now+numbers[index], target);
dfs(numbers, index+1, now-numbers[index], target);
}
public int solution(int[] numbers, int target) {
int answer = 0;
dfs(numbers, 1, numbers[0], target);
dfs(numbers, 1, -numbers[0], target);
return cnt;
}
}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lgorithm] 프로그래머스 단어 변환 (0) | 2021.06.27 |
---|---|
[Algorithm] 네트워크 (0) | 2021.06.26 |
[Algorithm] 병사 배치하기 (0) | 2021.06.24 |
[Algorithm] 퇴사 (0) | 2021.06.23 |
[Algorithm] 정수 삼각형 (0) | 2021.06.22 |